본문 바로가기

식품원료

Rice Bran Oil (미강유)

 주요 지방산의 조성

  

  

%

포화지방산

C14:0

미리스틱산

0.3

  

C16:0

팔미틱산

16.2

  

C18:0

스테아릭산

1.8

불포화지방산

C16:1

팔미톨레익산

0.1

  

C18:1

올레익산

41.4

  

C18:2

리놀레익산

37.5

  

C18:3

리놀레닉산

1.6

불검화물

  

  

3.0~5.0

   

미강유는 쌀겨를 압착한 기름입니다. 미강(米糠)의 강()은 겨를 뜻합니다. 따라서 순수한 우리말로는 쌀겨인 것이고, 미강유는 쌀겨기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겨는 쌀 뿐만 아니라, 보리, 밀이나 귀리 등 곡물을 정제하는 과정에서도 얻어집니다. 쌀은 벼라고 하는 식물에서 얻어지는 열매입니다.

   

   

위 사진은 열매를 맺은 벼의 모습인데, 벼의 열매를 특히 나락이라고 부릅니다. 위 사진에서 누렇게 보이는 것들이 나락이죠. 이 나락의 겉껍질이 왕겨이고,

   

   

   

왕겨를 벗기면 비로서 쌀 미()자가 붙는 현미(玄米)가 됩니다. 미라는 한자어는 쌀을 얻는데 88번의 손길을 거쳐야 한다고 해서 八十八가 붙어서 이루어진 글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검은 빛을 띠고 있다고 해서 현미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현미는 그 껍질에 또 다른 겨(껍질)를 가지고 있는데, 겨는 한자말로 강()이라고 부릅니다. 아래는 현미쌀의 구조 입니다.

   

   

바깥층의 쌀겨(미강, 米糠)를 벗기면 그 속에 쌀눈의 영양분이 있는데 배젖이라고 합니다. 저는 젖이라는, 한자말과 우리말의 복합보다는 순수한 우리말로 씨젖이라고 부르고 싶어 합니다)이라고 부릅니다. 배젖은 흰 색깔인데, 이 배젖을 백미라고 부릅니다.

   

미강은 이처럼 현미에서 백미로 도정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부산물인데, 식이섬유(베타 글루칸, 펙틴, 검), 각종 식이미네랄, 단백질과 지방 등의 영양물질과 각종 항산화물질(감마 올리자놀, 토코트리에놀, 베타 시토스테롤, 페룰릭애씨드 등)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속에 있는 영양성분인 배젖이 주로 탄수화물인 녹말이 주성분인 것과 비교하면 차이가 많습니다. 창조주의 섭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외부환경에 대응하는 성벽과도 같은 겨 층에서 적의 침입에 필요한 대포나 총, 칼과 무장병사를 배치 한 것은 당연한 것이 아닐까요.

   

미강유는, 이상과 같은 미강에서 착유한 만큼 미강의 중요한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기름입니다. 그러나 쉽게 산패 됩니다. 있어야 할 자리에 있지 않고 강제로 압출되어 온 만큼, 생명력이 빨리 꺼져 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산패가 되지 않도록, 잘 밀봉에서, 냉암소에 보관하는 것이 좋으며, 가급적 신선할 때 부지런히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피부 미용에 관련하여 부연하면, 미강유는 배아 특유의 향이 있으며 황갈색의 빛을 띠고 있습니다. 마사지 오일로 사용할 때, 그 사용감은 끈적거림이 적고 질퍽하지 않습니다. 같은 배아유인 소맥(밀)배아유(휫점 오일)에 비해 분자량이 적기 때문에, 피부에 비교적 잘 침투합니다. 모든 피부타입에 사용하며, 화장품 영역에서, 아이크림, 베이비용 화장품, 페이스 및 보디용 어디에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비누로 할 때는, 단품으로 만들 수도 있는데, 불검화물의 양이 적지 않은 까닭에 검화시간이 단축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거품도 꽤 나고, 말쑥한 기분을 느낄 수 있으며, 보습력과 매끈매끈한 기분은 좋은 편입니다. 단지 포화지방산의 함량이 적기 때문에 쉽게 물러질 수 있는데, 이 때의 처방의 지식과 노우하우를 이용해서 코코넛과 팜 오일의 함량을 적절하게 처방을 하면 됩니다.

   

이 미강유는 쌀 농사를 주로 하는 동남아시아에서 많이 생산이 됩니다. 그런데, 모든 식물성 오일의 경우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신뢰성 있는 제조업자가 만든 미강유를 택하는 것이 좋다는 것입니다. 쌀 농사를 지으면서, 농약을 많이 살포한 경우에 농약성분이 쌀눈에 축적될 수 있고, 미강유의 제조방법에 따라 농약이 그대로 남아 있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저 목성인이 한 때, 동남아에서 태국을 여행 한 적이 있었습니다. 그 때 동네 슈퍼마켓에 들어가보았습니다. 여기 저기 둘러보고 있는데, 진열대 하나가 거의  미강유로 채워져 있었습니다. 태국 등 동남아에서는 3모작을 하니까 쌀의 생산량이 많아서 인지, 미강유도 눈에 흔희 띠었습니다. 동남아와 중국 그리고 일본에서는 튀김 요리가 많은데, 미강유는 튀김용 기름으로 많이 이용을 받고 있습니다. 피부에 닿는 화장품 용으로는  생산이력이 확실한 미강유를 '강추'하는 바입니다.

   

현미쌀의 도정

   

아래는 현미를 도정하면서 강을 깍는 정도에 따라 나타나는 쌀의 모습입니다. 쌀겨는 겨의 ..

두께에 따라, 외미강(컽쌀겨), 중미강(가운데쌀겨), 내미강(속쌀겨)으로 나눌 수 있는데, 컽쌀겨는 외부의 잡균 침투를 저지하기 위해 왁스 등의 지방층으로 구성되고, 가운데쌀겨는 식이섬유가 수분을 함유하여 씨눈이 자라는데 필요한 수분의 보급소 역활을 하고, 속쌀겨는 아밀라제 등의 각종 효소가 저장되어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모든 자료를 종합한 저 목성인의 과학적 추리입니다.

   

얼마전, 동네 마트에 가서, 현미를 사서, 3분도로 깍아달라고 한 적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그 깍여져 나온 겨를 달라고 해서 받아 왔는데요, 죽을 끓여서 시식해 볼까 하고요.. 지독히 맛이 없었어요. 맛이, 텁텁하면서도, 쓰기도 하고... 아까워서, 국이고 밥이고 할 것 없이 조금씩 넣어 소비하고 있는데요, 포스트에 글을 올리는 요즈음에도요..., 그러나.... 화장품으로는 멋진 크림을 만들어 선보일께요..., 관심 있으면 연락주시어요....

   

[출처] 원료편-식물성 오일-Rice Bran Oil [미강유]|작성자 목성인

   

반응형

'식품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타피오카 (tapioca)  (0) 2010.04.14
카사바 (cassava)  (0) 2010.04.14
렌틸콩 (Lentil)  (0) 2009.10.06
대두단백  (0) 2009.10.06
마카다미아 넛트 오일 (Macadamia nut oil)  (0) 2009.10.05